14501번 퇴사코드 - DP
2020. 2. 7. 10:57ㆍLearn/Algorithm
1
2
3
4
5
6
7
8
9
10
11
12
13
14
15
16
17
18
19
20
21
22
23
24
25
26
27
28
29
30
31
32
33
34
35
|
import java.util.Arrays;
import java.util.Scanner;
public class Main {
public static void main(String[] args) {
Scanner sc= new Scanner(System.in);
int N = sc.nextInt();
int T = 0;
int P = 0;
int pnt = 0;
int max = 0;
int trr[] = new int [N+1];
int prr[] = new int [N+1];
for(int i = 1; i < N+1; i++) {
T = sc.nextInt();
P = sc.nextInt();
trr[i] = T + i;
prr[i] = P;
}
for(int i = 1; i < N+1; i++) {
pnt = 0;
for(int j = 1; j < i;j++) {
if(trr[j] <= i) {
pnt = Math.max(pnt, prr[j]);
}
}
prr[i] += pnt;
if(trr[i] <= N+1)
max = Math.max(max, prr[i]);
}
System.out.println(max);
}//endofmain
}//endofclass
http://colorscripter.com/info#e" target="_blank" style="color:#4f4f4ftext-decoration:none">Colored by Color Scripter
http://colorscripter.com/info#e" target="_blank" style="text-decoration:none;color:white">cs |
완전 탐색을 이용해서 풀 수 도 있었지만,
재귀 짜는 부분이 귀찮으므로 간결한 DP라고 부르기도 부끄러운 DP를 사용했다.
자기날짜와 수행되는 날짜의 시간을 더한 값을 넣어서 그 시간보다 자신의 날짜가 작은 값들중의 최고값을
자기자신에게 더해 줄 수 있도록 코드를 구성하였다.
여기서 N+1을 마지막에 출력해야되는데 소요되는 일수가 1일의 경우 그날 끝나면서 값에 더해줘야하는데 DP의 경우 밖으로 움직이면서 탐색하므로 크기 (N) +1 을 수행해주어야한다.
'Learn > Algorithm' 카테고리의 다른 글
1873. 상호의 배틀필드 (0) | 2020.02.10 |
---|---|
4408 자기방으로 돌아가기 (0) | 2020.02.10 |
1244 스위치 켜고 끄기 - 재귀연습 (0) | 2020.02.07 |
1228 SWExpert 암호문1 (0) | 2020.02.06 |
6603번 로또 - 백트레킹 (0) | 2020.02.06 |